정비사업관련/정비사업뉴스

[스크랩] ?신한피앤씨 추천소식 - 한강변 초대형 재건축 이번엔 될까?

박주훈 2017. 2. 21. 10:25
728x90

신한피앤씨 추천소식 - 한강변 초대형 재건축 이번엔 될까


한강변 초대형 재건축 이번엔 될까

`재도전` 반포주공1단지에 잠실주공5단지까지…18일 서울시 심의


기사입력 2017.01.09 17:05:30 | 최종수정 2017.01.09 19:06:17


2015년 서울시가 발표한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에 나와 있는

 반포 일대 아파트 공원 모습(재건축 시 권고 형태). [사진 제공 = 서울시]


한강변 아파트 재건축의 서막이 오른다.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오는 18일 본회의에 각각 3000가구가 넘는 거대 단지인 '반포주공1단지'와 '잠실주공5단지' 재건축 심의를 상정한다. 


특히 그동안 몇 번이나 안건으로 올라갔지만 퇴짜를 맞은 반포주공1단지는 관심도가 최고조다. 심의가 막바지에 달한 데다가 한강변에 바로 인접해 있는 대규모 단지로는 사실상 첫 재건축 스타트를 끊는다는 점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논란은 오히려 시와 조합 사이가 아닌 서울시 도계위 내부에서 벌어지고 있다. 한강을 시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한강 공공성 논쟁'이 벌어진 것. 반포주공1단지 주민들은 재건축 세부 계획안을 가져오면서 2개의 브리지를 만들고, 한강변에 가로공원을 조성하는 안을 기본으로 내놨지만 도계위원 중 일부가 공원 대신 완충녹지를 두기만 해도 충분하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다. 


이에 반발하는 또 다른 도계위원들은 아파트와 한강 사이에 일종의 '벽'을 쌓는 완충녹지보다는 수변가로공원이나 덮개공원 등 형태로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면서 대립하고 있다. 완충녹지는 기존 아파트에서 많이 적용한 방식이다. 말 그대로 아파트와 도로, 외부 사이에 '완충' 역할을 하는 녹지를 두는 것인데 여기에는 작은 오솔길이나 간단한 운동기구 외엔 둘 수 없도록 돼 있다. 이 때문에 아파트 주민이 아니라면 현실적으로 이 공간을 이용하는 것이 어렵다. 확보해야 하는 면적도 공원에 비해 작기 때문에 결국엔 과거 신반포 아크로리버파크 아파트가 그랬듯 한강둔치 및 시민공원과의 연결은 현재처럼 토끼굴과 같은 형태로만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공원 형태로 조성하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주민들 입장에선 확보해야 하는 면적이 더 넓어져 손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미 초기 단계부터 공원을 염두에 두고 세부계획이 마련됐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다. 


또 완충녹지에 설치 불가능한 카페나 편의점 등 각종 상업시설을 가로공원에는 둘 수 있어 주민들은 여기에서 발생한 매출을 통해 이익을 내 비용을 상쇄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 판단이다. 한 도계위원은 "이번 한강변 재건축의 첫 스타트를 끊는 단지가 반포주공1단지가 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한강 공공성 문제를 신중하게 봐야 한다"면서 "3000가구가 넘는 대단지 아파트인 만큼 다른 한강변 재건축 아파트에 일종의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서울시가 2015년 발표한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을 보면 반포주공아파트 등 반포 일대 아파트 재건축 시 '건축선 후퇴를 활용하여 가로공원을 조성할 것'이라는 대목이 가이드라인으로 나와 있다. 용적률 등을 상향 조정하는 대신 받는 공공기여 분을 모두 한강변으로 빼서 일반 시민들이 한강을 자유롭게 오고 갈 수 있게 해 최대한 공공성을 확보하자는 내용이다. 


올해 서울시 도계위는 지난해 상정했지만 심사를 하지 못한 이촌동 한강삼익과 한강맨션 정비계획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수정아파트 등 여의도 재건축 대상 단지들도 정비구역 지정을 위해 계획안을 제출한 상태다. 


같은 날 도계위에 상정되는 잠실주공5단지 역시 한강변과 잠실이라는 입지 때문에 최대 관심을 모으고 있는 곳이다. 작년 6월 송파구에 정비계획안이 접수된 후 첫 도계위 심의다. 이곳은 강남의 다른 아파트들과 달리 4개 동이 준주거지역으로 지정돼 50층 종상향도 원칙적으로 가능하다. 다만 서울시가 워낙에 '공동주택의 층수는 35층'이라는 확고한 방침을 갖고 있어 심사의 결론이 어떻게 날지는 미지수다. 잠실주공5단지 일부에 50층이 허용될 경우 기타 강남·서초 등지에 있는 아파트들의 재건축 향방에도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박인혜 기자 / 김강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심의위원님들 주민들도 생각해 주시고 전체적인 주변공간의

균형도 생각해주세요..일률적인 규제는 결국은 주민들의

삶을 피폐하게 만듭니다.


-최고의정비업체 신한피앤씨 강신봉 대표이사- 

◇서울특별시 정비사업전문관리업자 등록업체◇

출처 : 신한피앤씨
글쓴이 : 최고의정비업체 원글보기
메모 :